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이 부분 놓치지 마세요~

2025.05.19.
국세청이 종합소득세 신고 시 납세자가 더욱 편리하게 성실 신고할 수 있도록 개인 맞춤형 성실신고 사전 안내를 시행합니다. 신고 후에는 성실신고 사전 안내 내용을 반영했는지를 분석해 '신고 내용 확인'을 진행하는데요. 어떤 내용들이 담겨있는지.. 지금부터 알아봅니다. 국세청이 성실신고 사전 안내 대상자 119만 명에게 '신고 시 도움이 되는 사항안내'를 모바일로 발송했습니다. 이와 함께 개인별 성실신고 사전 안내 내용은 홈택스와 손택스 '신고 도움 서비스'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 밖에도 종합소득세 개인 맞춤형 성실신고 사전 안내 주요 내용. 지금부터 알아봅니다. 종합소득세는 한 해 동안 발생한 다양한 소득을 합산해 신고・납부하는 세금으로 근로 소득만 있는 직장인의 경우 연말정산으로 소득 신고를 완료하게 되지만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하는 소득이 있다면 추가로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요한데요. 일시적 강연료, 원고료 등 기타 소득 금액이 연간 300만 원을 초과하거나 사업소득 또는 프리랜서로 3.3%의 세금을 원천 징수한 소득이 있는 경우, 그리고 금융소득이 연간 2천만 원을 초과하거나 사적연금이 연간 1,5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가 추가 신고 대상 소득입니다. 국세청은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납세자들이 더욱 편리하게 성실 신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데요. 올해 개인별 성실신고 사전 안내 주요 항목을 살펴보면 특허권 등 무체재산권 양도 금액을 기타소득으로 신고하도록 하고, 사업용 유형자산 처분 가액을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 업무 전용 자동차보험 미가입 시 업무용 승용차 관련 필요경비 불산입과 해외 플랫폼으로부터 수취한 외화 수입금액 신고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개인별 성실신고 사전안내 내용은 홈택스와 손택스 '신고도움 서비스'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특히, 신고도움 서비스에서는 개인별 유의 사항을 비롯해 사업장별수입금액, 기납부세액 소득·세액공제 항목, 최근 3년 동안의 종합소득세 신고 상황 등도 제공됩니다. 국세청은 신고 후에 성실신고 사전안내 내용을 반영했는지 여부를 분석해 '신고내용 확인'을 진행하는데요. 특히, 지난해 신고 내용 확인 결과, 사업소득을 기타소득으로 신고하거나 부동산 매매계약 해제에 따른 위약금을 신고 누락한 경우, 또 직원 없는 사업자가 필요경비를 과다계상한 경우 등 신고 도움 자료 제공에도 불구하고 잘못 신고한 사례를 발견했습니다. 여러 업체에 강의를 제공하고 강의료를 지급받은 전문 강사 A씨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소득 종류를 기타소득으로 신고했는데요. 국세청은 A씨의 신고서를 분석한 결과 기타소득을 사업소득으로 변경해 가산세와 함께 종합소득세 수정신고를 안내했습니다. 고용 관계없이 독립된 자격으로 계속적・반복적으로 용역을 제공하고 지급받는 대가는 사업소득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개인 납세자 B씨는 자신이 보유한 아파트의 매매계약을 체결했으나 계약이 해제돼 위약금 수입이 발생했는데요. 하지만 이듬해 종합소득세 신고 시 위약금을 기타소득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국세청은 부동산 매매계약 자료를 분석해 위약금 수령을 확인하고 분석 대상자로 선정해 가산세와 함께 종합소득세를 추징했습니다. 국세청은 국민이 쉽고 정확하게 신고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인데요.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신고 도움 자료를 참고해서 끝까지 성실하게 신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전체1,519

1/190